[기술동향자료]쿠바 의료기기 산업 동향(2017.05.22)
페이지 정보
작성자 작성일17-11-07 15:06 조회1,703회본문
| 제목 | 쿠바 의료기기 산업 동향 (기술동향자료) | 
|---|---|
| 발행일 | 2017.05.22 | 
| 자료유형 | 동향보고서 | 
| 정보제공 | KOSEN (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) | 
| 원문보기 | http://www.kosen21.org/info/gtbReport/gtbReportDetail.do?articleSeq=GTB_0000000000055631&boardClass=&sciCode=&boardName=&searchCondition=&searchKeyword=&customStatus=&pageIndex=1 | 
쿠바 의료기기 산업 동향
- 쿠바 정부, 보건복지 향상을 위해 쿠바 내 의료장비 첨단화 사업을 진행 중 -
- 우리 기업의 기술 제휴, 첨단장비 상용화 등 사업협력이 유망할 것으로 예상 -
□ 쿠바 내 시장 동향
ㅇ 쿠바 시장 내 한국산 의료기기 제품은 품질 및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점차 우위를 점해갈 것으로 전망됨.
- 2015년 2월, 대쿠바 의료기기 수출 관련, 한국무역보험공사(K-SURE)-쿠바 대외은행(BEC) 간 해당 사업 확대를 위한 MOU가 체결됨.
ㅇ 주요 수입업체: GECOMEX 산하 MEDICUBA사
- MEDICUBA사의 관계자는 한국 의료기기의 품질을 평가하며, 향후 한국 의료기기 등 관련 제품 수입 확대 가능성을 언급함.
- 해당 회사는 쿠바에서 의료기기 수출·수입을 전담하는 국영기업이며, 대쿠바 의료기기 수출을 희망하는 기업은 해당 회사 벤더 등록을 통해서 진행이 가능함.
· 벤더 등록은 해당 기업이 요구하는 기업 개요, 은행 레퍼런스 등의 서류를 제출해야 함(기업마다 요구사항이 상이하기 때문에, 벤더 등록 진행 희망 시 KOTRA 아바나 무역관에 문의).
□ 한국 의료기기의 대쿠바 수출 현황
ㅇ 의약품·의료용 기기 등 일부 품목의 대쿠바 수출은 감소했으나, X선·방사선 기기 및 의료용 전자기기 등의 수출이 대폭 상승 중
ㅇ 이는 MEDICUBA사가 쿠바 내 의료장비 현대화를 위해 X선·방사선 기기 및 의료용 전자기기를 적극적으로 도입함에 따른 결과로 판단됨.
2015~2016년 한국 의료기기의 대쿠바 수출 현황
(단위: 천 달러, %)
| 코드 | 품목명 | 2015년 | 2016년(12월) | ||
| 금액 | 증감률 | 금액 | 증감률 | ||
| 8146 | X선·방사선 기기 | 92 | -67.0 | 2,661 | 2,781.7 | 
| 8147 | 의료용 전자기기 | 122 | -31.4 | 1,488 | 1,119.7 | 
| 2262 | 의약품 | 527 | -81.2 | 397 | -24.7 | 
| 7332 | 의료용 기기 부품 | 1,399 | 12.0 | 79 | -94.4 | 
| 7331 | 의료용 기기 | 88 | -7.9 | 70 | -20.2 | 
| 총계 | 51,535 | -7.7 | 42,139 | -18.2 | |
자료원: KITA
□ 대쿠바 의료기기 수출 동향
ㅇ 주요 수출국가: 이탈리아(21%), 중국(20%), 독일(16%), 스페인(9%) 등 주로 유럽 및 아시아에서 수출을 주도하고 있음.
ㅇ 주요 수입장비(MEDICUBA사 관심품목)
- 혈액투석 장비(Hemodialisis equipment)
    - 치아밀링 장비(Dental equipment - Tooth milling cutter)
    - 정형외과 기기(Orthopaedics)
    - 의료장비 및 측정장비(Medical instrument)
    - 암치료 장비(Equipments for Oncology)
 
ㅇ MEDICUBA 관계자는 노후화된 의료장비들을 점진적으로 교체해 나갈 계획이며, 상기 장비들이 최우선으로 수입해 상용화해 나갈 계획임을 언급함.
□ 시사점
ㅇ 쿠바 정부가 보건복지 향상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쿠바 내 의료장비 첨단화 사업을 진행 중임. 향후 우리 기업의 기술 제휴, 첨단 장비 상용화 등 사업협력이 유망할 것으로 사료됨.
ㅇ 우리의 유관 산업단체와 쿠바 의료기기 수입업체 간 지속적인 접촉을 기반으로 기업 간 및 인적교류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.
ㅇ 쿠바는 중남미 최고 의료 선진국으로 중남미 시장 내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음. 따라서 향후 쿠바 시장을 거점화해 인근국 및 우방국 진출 확대를 시도할 필요가 있음.
자료원: KITA 및 KOTRA 아바나 무역관 자료 종합
< 저작권자 ⓒ KOTRA & KOTRA 해외시장뉴스 >













